Idea ♻️ 6개월만에 100만 찍은 '콘텐츠 재활용 루프' 예상 읽기 시간: 1분 24초 꾸준함이 필수라지만, 매번 새로 만들기 어렵다면 '콘텐츠 무한 재활용'으로 빠르게 성장해 보세요 꾸준한 콘텐츠로 성장하고 싶어…However! 만들기 힘들어 해외 유명 솔로프리너 Alex Hormozi의 초창기 시절. 그는 1년간 매주 7개의 콘텐츠를 만들어 올렸습니다. 비즈니스는 조금씩 성장하고 있었지만, 그가 원하는 만큼의 큰 성과는
Idea 📮 뉴스레터: 스팸함에서 저 좀 꺼내주세요...! 여러분, 혹시 뉴스레터 발행하거나 혹은 관심 있으신가요? 올해 Gmail 정책이 강화되면서 메일이 스팸함으로 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요. 특히 뉴스레터의 경우 도메인이나 설정을 최적화하고 플랫폼을 통해 발행한다 하더라도 받는 사람의 메일함 설정이나 인식 여부에 따라 스팸함으로 가는 경우가 늘어났습니다. 이럴 때 우리는 과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구독자에게 제대로 닿기
Idea 🤯 해냈다 제목을 보고 ‘뭘 해냈다는 거지’라는 궁금증에 클릭하셨다면 오늘 소개할 아이디어가 효과가 있다는 뜻일 거예요. 콘텐츠에서 제목은 거의 모든 것의 압축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중요한데요. 여러분은 글을 쓸 때 제목을 먼저 지으시나요? 아니면 글을 먼저 쓰고 제목을 뽑으시나요?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저는 보통 후자의 방법으로 제목을 짓습니다. 가끔
Idea ⏰ 더 늦기 전, 올해에는 반드시 시작해야 하는 ‘이것’ 예상 읽기 시간: 1분 31초 더 늦기 전, 올해에는 반드시 시작해야 하는 ‘이것’ 인생은 타이밍, 마케팅도 타이밍 올 한해 ‘코딩’을 유행시켜 사용자를 모으리라 대화형으로 프로그래밍 강의를 제공하는 Codecademy는 사람들이 쉽고 일상적으로 코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입니다. 대학생 둘이서 만든 코드카데미는 250만 달러를 투자받게 되면서 주목받는 스타트업이 되었습니다. 코드카데미의
Idea 🤯 하루만에 사람 1,000명이 있었는데, 없어요. 예상 읽기 시간: 1분 18초 하루만에 사람 1,000명이 있었는데, 없어요. 물론 가짜로 현혹하면 안되지만, 가끔은 선의의 마중물이 필요할 때도 있어요 하루만에 유저가 1,000명이 생겼다가 사라졌다면 우연히 Y Combinator의 설립자 ‘폴 그레이엄’과 대화를 나누게 된 두 청년(알렉시스, 스티브). 얼떨결에 투자까지 받게 되고, 커뮤니티 사이트 ‘Reddit’을 만들게
Idea 💔 초대 받은 사람에겐 절대 리워드를 주지 않는 리퍼럴? 예상 읽기 시간: 1분 37초 초대 받은 사람에겐 절대 리워드를 주지 않는 리퍼럴? 때로는 리워드를 한 쪽에 몰아주는 게 리퍼럴 성공 확률이 높을 수 있어요 이제 막 인지한 사람을 고객으로 확- 끌어당기기 영국의 토스 Revolut는 좀 더 확실한 리퍼럴 마케팅 방법을 고민했습니다. 보통 레볼루트의 유저는 오프라인에서 친구, 지인을 통해 서비스를
Idea ❤️🔥 데이팅 앱을 만들었다. 누구부터 플러팅 해야할까? 예상 읽기 시간: 1분 26초 데이팅 앱을 만들었다. 누구부터 플러팅 해야할까? 타깃이 넓어서 시작이 어렵다면, 아주 작은 영역의 인싸부터 공략하기 타깃을 성별, 나이, 능력 모두 골고루 모아야 한다면? 데이팅 앱 Tinder의 창립자들은 걱정이 많았습니다. 초기 유저 수가 저조했고, 광고 마케팅을 하기엔 그들의 타깃은 너무 넓었거든요. 데이팅 앱 특성상 틴더는 성별,
Idea 🧘♂️200만명을 사로잡은 '2분 동안 아무것도 안 하기' 챌린지 예상 읽기 시간: 1분 15초 Do Noting For 2 Minutes 2분 동안 아무것도 안 해야 끝나는 챌린지? 대중적인 바이럴은 = 사회문제 건들기 93%의 미국인의 흥미를 끌 바이럴 요소를 찾아라 Calm의 창업자 Alex는 니치한 시장이 아닌, 일반 대중을 타깃으로 하는 서비스 아이디어를 생각해 냄. 타깃은 바로 명상을 하지 않는 93%의
etc '커뮤니티 비즈니스? 일반 커뮤니티와 확실히 구분하세요'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오늘은 커뮤니티를 뜨겁게 불태워본 빌더의 경험을 들어보는 스트래치드 인터뷰인데요. 이번주는 국내 최대 여성 스타트업 커뮤니티 '스여일삶'을 운영하시고, 현재는 동시에 멋쟁이 사자처럼의 커뮤니티 리드를 맡고 계신 김지영 빌더님을 모셨습니다. 커뮤니티를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아마 고민이 많으실 것 같은데요. 커뮤니티 성장에 있어 질적/양적인
etc 커뮤니티로 수익을 버는 게 맞는 걸까?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지난달 두 차례의 레터를 통해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고 성장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와 같은 방법으로 커뮤니티를 잘 구축했다면, 다음 차례는 무엇일까요? 바로 수익화입니다. 물론 커뮤니티를 계속 무료로 유지할 수도 있지만 커뮤니티로 수익을 만들어 보는 것은 커뮤니티 빌더와 멤버 모두에게 중요한 경험이 될 수 있어요. 오늘은
etc 커리어리는 왜 '개발자 커뮤니티'로 방향을 바꿨을까?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오늘은 커뮤니티를 뜨겁게 불태워본 빌더의 경험을 들어보는 스트래치드 인터뷰인데요. 이번주는 커리어리에서 리드 커뮤니티 매니저로 일하셨던 최자민 빌더님 모시고 커리어리가 '개발자 커뮤니티'로 방향성을 좁힌 이유, 콘텐츠 크리에이터 중심의 커뮤니티 활성화 전략을 통해 섭외부터 활동 관리까지 어떻게 진행했는지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 들어봤습니다. 목차
etc 잠잠한 내 커뮤니티, 다시 불태우고 싶다면🔥?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최근 래치드 팀에서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커뮤니티 활성화'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이 많아졌는데요. 운영진만 이야기하는 잠잠한 커뮤니티를 다시 뜨겁게 불태우기 위해 시도해보면 좋을 만한 방법들과 그 예시를 한 번 정리해봤습니다. 바로 시작할게요! 커뮤니티 빌더들의 커뮤니티, 래치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알림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내외
etc 연 1,000만원 내는 유료 커뮤니티, 가입하시겠습니까?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2주 만에 뵙는 것 같아요. 반갑습니다. 휴재 후 스트래치드가 더 새로운 내용들로 개편해 찾아왔어요. 앞으로 다양한 커뮤니티 인사이트 전달드릴 예정이니 기대 해주세요😊 오늘은 연 1,000만원의 가입비를 자랑하는 프리미엄 멤버십 커뮤니티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도대체 그 비싼 금액을 내면서도 사람들이 멤버십에 참여하려는 이유는 무엇인지. 또
etc '이거 마시면 깃허브 쓰는 거다?' GitHub의 맥주 플러팅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개발자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되는 소중한 호스팅 지원 웹 서비스 '깃허브'. 사실 깃허브 초기 시절에는 창업자들이 수중에 있는 돈을 거의 맥주 사는데 쓰면서 사용자들을 모았다면 믿기시나요? 오늘은 깃허브의 우여곡절 창업 스토리와, 초기 유저를 모은 방법. 그리고 커뮤니티 혹은 잠재 고객 유치를 위해 지원하는 여러가지
etc JUST RUN IT. 나이키는 왜 느슨한 커뮤니티를 만들었을까?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러닝을 좋아하거나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한번 쯤은 들어봤을 나이키 런 클럽(Nike Run Club, NRC). 제품을 넘어 경험적인 만족감을 선사하기 위해 나이키(Nike)에서 만든 러닝 커뮤니티인데요. 브랜드 고객 락인을 위한 강력한 커뮤니티보다, 나이키 제품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러너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한 '느슨한 커뮤니티&
etc 그 유명한 BTS 레고(LEGO), 커뮤니티에서 만들어졌다고?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누구나 한번쯤은 어렸을 때 가지고 놀던 대국민 장난감 레고(LEGO). 거의 100년 동안 업계 1위를 지켜온 레고의 제품들이 사실 커뮤니티 기반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아시나요? 오늘 레터에서는 레고의 창업 스토리와, 커뮤니티 '레고 아이디어스'를 통해 고객의 목소리를 제품으로 만들어내는 과정을 알아봤습니다. 이번 주
etc 수백 개의 가짜 계정으로 커뮤니티를 만든 레딧(Reddit)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커뮤니티를 운영하는 빌더라면 커뮤니티 활성화에 대한 고민, 한번쯤 해보셨을 것 같은데요. 오늘은 운좋게 사람은 모았지만, 어떻게 활용할지 몰라 수백 개의 가짜 계정으로 커뮤니티를 만들어버린 레딧(Reddit)의 이야기를 가져와봤습니다. 이번 주 뉴스레터 목차 • 창업자 몰래 론칭된 서비스, 레딧(Reddit) • 수 백개의 가짜 계정으로 커뮤니티를
etc 커뮤니티 빌더의 고민 해결사, 디스코드(Discord) 👾 안녕하세요. 커뮤니티 빌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처음 커뮤니티를 개설한다면 가장 많이 하는 고민 중 하나는 바로 ‘어떻게 사람들을 내 커뮤니티로 유입시킬지’인데요. 오늘은 사람들의 고민을 해결해주면서 빠르게 서비스를 성장시킨 커뮤니티 플랫폼 디스코드(Discord) 이야기를 가져와 봤습니다. 디스코드가 사람들을 유입시킨 사례와, 어떤 기능을 통해 그들의 고민을 해결해주고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이번 주
etc 마케팅 리더 허브스팟(HubSpot)이 콘텐츠로 커뮤니티를 키운 방법 안녕하세요. 래치더 여러분 스트래치드입니다. 좋은 퀄리티의 콘텐츠를 제작해 꾸준히 발행하는 것은 커뮤니티를 성장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인데요. 오늘은 다양한 콘텐츠 실험을 통해 커뮤니티를 빠르게 성장시킨 마케팅 솔루션 허브스팟(HubSpot)의 창업 스토리와 다양한 콘텐츠 사례, 팁을 알아봤습니다. 이번 주 뉴스레터 목차 • '인바운드 마케팅'을 만든 기업, 허브스팟(
etc 'No Software'를 외치는 소프트웨어 기업🤔 세일즈포스(Salesforce) 안녕하세요. 래치더 여러분 스트래치드입니다. 혹시 비즈니스 커뮤니티를 운영하거나 준비하면서 제품을 개발하고 계신 빌더 분들 계신가요? 오늘은 비즈니스 커뮤니티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세일즈포스(Salesforce)의 사례를 가져와봤어요. 커뮤니티 멤버를 자신과 함께 서비스를 만들어가는 '동료'로 생각하는 마인드와 그들이 제공하는 활동, 이를 통해 얻는 효과들을 알아봤습니다. 이번 주 뉴스레터 목차
etc 얼마나 좋으면 로고를 몸에 새길까? 할리데이비슨 안녕하세요. 래치더 여러분 스트래치드입니다. 혹시 오토바이 좋아하는 분 있으신가요? 최근 레트로 열풍을 타고 바이커 재킷이 재유행하면서 할리데이비슨의 아이템들이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자신들은 오토바이가 아닌, ‘경험’을 판다는 이 브랜드. 오늘은 할리데이비슨이 어떻게 세계적으로 130만명 이상의 멤버를 모아 커뮤니티 기반 브랜드의 대명사가 될 수 있었는지 알아봤습니다. 이번 주 뉴스레터 목차 • 우린
etc Community in Latched_트렌드어워드 *이 인터뷰는 나는 ___커뮤니티의 빌더다 행사 후 발행된 후속 아티클입니다. 나는 트렌드어워드 커뮤니티 빌더다 by 김테드님 트렌드어워드는 어떤 커뮤니티인가요? 안녕하세요. 저는 ‘트렌드어워드(Trend A Word)’라는 뉴스레터와 ‘트렌드어워드 트렌드 서치 그룹’ 커뮤니티를 운영하고 있는 김테드(Ted)입니다. 트렌드어워드는 신조어, 트렌드에 대해 남들보다 반발자국 앞서 전달해주는 뉴스레터인데요. 매주 평일 아침 9시~
etc 최근 누군가와 헤어졌다면? 멘드(Mend)하세요 안녕하세요. 래치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만약 어제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을 했다면, 가장 빠르고 안정적으로 극복하는 방법은 뭐가 있을까요? 오늘은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생겨난 조금 이색적인 서비스 멘드(Mend)와 그 커뮤니티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주 뉴스레터 목차 • 이별을 빠르게 극복하기 위한 방법, 멘드(Mend) • 멘드의 커뮤니티가 강력한 이유 커뮤니티 빌더들의
etc 사람들이 300만원 내고 홈트 하는 이유? 펠로톤 (Peloton) 안녕하세요. 래치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자전거 한 대에 260만원, 월 5만원 이상의 구독료를 지불하는 홈 트레이닝이 있다면 여러분은 하실 건가요? 이들은 어떤 방법으로 동기부여 받으며 펠로톤으로 운동을 해나가는 걸까요? 오늘은 온라인 피트니스 스트리밍 서비스 펠로톤(Peloton)의 커뮤니티와, 코로나 회복 이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내세운 커뮤니티 전략을 알아봤습니다. 이번 주
etc 이케아(IKEA)는 해커들의 브랜드다? 안녕하세요. 래치더 여러분 스트래치드 입니다. 만약 내 브랜드의 제품을 분해하고, 자기 마음대로 사용하는 대규모 커뮤니티가 생겼다면 어떨 것 같으세요? 게다가 내 제품으로 돈까지 번다면…? 좋을까요, 싫을까요? 바로 글로벌 가구 브랜드 이케아(IKEA)의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특이하게 브랜드가 직접 구축한 커뮤니티가 아닌,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한 커뮤니티와 이를 대하는 브랜드의 태도 및